교수진 소개
ABOUT PROFESSOR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김내리 Kim Nae Ri
- · 연락처: 02-2610-5250
- · 연구실: 6호관 541
- · E-mail: nrkim@dongyang.ac.kr
설계스튜디오와 프로젝트 제작시공실습, 실내건축제도, 공간프로그램분석 등을 가르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과(미술사학 복수전공)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공간디자인 전공으로 석사학위 취득,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체험에 기반한 공간 테마화 연출과 스토리텔링 공간 구축 방법론을 연구하고, ㈜삼성에버랜드((현)삼성물산) 리조트 사업부 디자인실에서 디자이너 및 아트 디렉터로 활동하면서 에버랜드 및 캐리비안베이 등 테마파크의 존개발, 단위 시설 계획 및 시공에 참여하였고, 베네스트 골프 클럽하우스 리뉴얼, 파크 마스터 플랜 등에 참여하였다. 이후 보편적 표준을 위한 디자인이 아닌 포용적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장애 혹은 기질적 어려움을 가진 이들을 포용하는 지원적 환경에 대한 방법론과 작업을 연구중이다.
「감각통합이론에 근거한 장애와 비장애를 포용하는 놀이터 환경 구성에 관한 연구」 등 포용적 환경 구축 방법론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연구중이며 「사례를 통해 본 테마파크 내 공공성 회복 방안 연구」 등 테마화 공간의 공공적 측면의 가치 회복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공유 주택의 평면구성 및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 「일본의 쉐어하우스 기능에 따른 공간 분석」 등 공간 계획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디자인과 타 학문과의 융합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 「화훼소비 확대를 위한 신화환 개발 및 화환 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_지속가능 형태의 신화환대 개발」 등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 농림부의 연구용역을 다수 수행하였다. 관련하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ew Standing Spray Design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Approach」, 「제품 속성에 기반한 패키지 디자인 구성 요건 연구」 등 발전적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반한 타 영역의 제품과 환경 구축 연구를 진행하고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고, 제품과 패키지에 관련한 다수의 디자인 특허를 가지고 있다.
학력
Education
-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간디자인전공 박사 수료
-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간디자인전공 석사
- ·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과(미술사학 복수전공, 실내환경디자인 부전공) 졸업
경력
Career
- · ㈜삼성물산 에버랜드 리조트 디자인실 선임
- · Ian&jenny + 디자이너
- · 계원예술대학교 공간연출과 조교수 역임
- · 현 동양미래대학교 생활환경공학부 실내환경디자인과 조교수
학회 활동
- · 사단법인 한국실내디자인학회(KIID) 정회원
- · 사단법인 한국생태학회 정회원
- · 사단법인 한국화예디자인학회 정회원
- · 사단법인 한국화예디자인학회 이사 역임
- · 현 사단법인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편집위원
대외 활동
- · 경기도 화성시 공공디자인 자문위원
주요 연구실적
- · 석사학위논문: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설정과 표현특성을 통해 본 현상학적 공간 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간디자인전공
학회 논문
- · “사례를 통해 본 테마파크 내 공공성 회복 방안 연구”, 한국 생태학회 논문집, 2021
-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ew Standing Spray Design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Approach”, 인간식물환경학회 논문집, 2020
- · “일본의 쉐어하우스 기능에 따른 공간 분석 쉐어하우스 공간계획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
- · “공유 주택의 평면구성 및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공유주택 내 커뮤니티공간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
- · “감각 통합 이론에 근거한 장애와 비장애를 포용하는 놀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5
연구 활동
- · <농림수산기술기획평가원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제2협동 연구과제> 지속가능 형태의 신화환대 개발, 농림수산식품 기술기획평가원(IPET), 2017-2019
- · <농림수산기술기획평가원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 제2협동 연구과제> 고품질 심비디움 가공소재 개발 및 산업화, 농림수산식품 기술기획평가원(IPET), 2014-2017
- · <평택시 지원사업 내 연구용역> 평택시 체리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디자인 개발연구, 평택시 농업기술센터, 평택시 체리 연구회, 2016
- · <평택시 지원사업 내 연구용역> 평택시 프리저브드 플라워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디자인 개발연구, 평택시 농업기술센터, 평택시 보존화연구회, 2015
- · <민간기업 연구용역> 인천국제공항 T1 진입경관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컨셉 및 공간디자인 연구, 수성엔지니어링, 2013-2014
- · <농촌진흥청 원예특용작물 경쟁력 제고기술 개발사업 위탁 연구과제> 가공소재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 농업진흥청, 2012-2013
작품 활동
- · 화환 받침대 디자인 특허 4건, 대한민국 특허청, 2020
- · 화환 거치대 디자인 특허 1건, 대한민국 특허청, 2020
- · 체리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특허 3건, 대한민국 특허청, 2017
- · 프리저브드 플라워 브랜드 BI 및 제품 디자인 특허 2건, 대한민국 특허청, 2015
- · 프리저브드 플라워 브랜드 BI 디자인 특허 1건, 대한민국 특허청, 2015
- · 프리저브드 플라워 브랜드 BI 및 패키지 디자인 특허 2건, 대한민국 특허청,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