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의 많은 부분들이 묘지로 잠식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줄어드는 생활공간과 자연환경은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유교적 매장문화가 가져다 준 문제는
매장을 하기 위한 또 하나의 커다란 사회, 경제적 부담을 가져다주며 후손들에게 사후관리에 대한 어려움도 가져다 주게 된다. 그러나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매장 중심의 장묘 문화에 대한 비판과 성찰 여론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대안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장묘 문화에 대한 변화되는 사회적 인식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장묘 시설의 합리적인 계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대중이 즐길 수 있는 예술과의 접속을 통해 장묘 문화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바꾼 소규모의 도심 속 납골당을 계획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현재까지의 납골당이 접근성이나 인식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조성됨으로서 커다란 불편을 초래하였다. Memorial pavilion은 도시 속에서 산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고 그 지역의 형태를 활성화하는 도시 속의 연극 공연 납골당이다. Memorial Pavilion은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 산자의 도시에 초대하는 단계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도시 속에서 산 자와 죽은 자가 동시에 공존한다. 서로 방관하지 않으며 삶과 죽음을 넘나든다.
BUFFER SPACE
산자와 죽은 자의 공유공간으로 납골당의 일상화를 꾀하기 위한 공간. 도시민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문화시설로서 도시와 납골당의 완충 공간으로 해석.
MAIN ENTRANCE
강한 상징성 부여, 기존 지형의 보존, 기능의 효율성 및 질서구축